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내가 받을 수 있는지 계산해보셨나요?
    중위소득 60%라는 숫자, 막막하지 않으셨나요?
    1분 안에 확인 가능한 자가진단 및 계산법을 알려드립니다!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청년월세지원 소득기준이란?


    청년월세지원 신청을 위해서는 **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60% 이하**여야 합니다.
    이 기준은 보건복지부에서 매년 발표하는 ‘중위소득’을 기반으로 하며,
    가구원 수에 따라 달라집니다.



   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


    2025년 기준 가구원 수별 중위소득 60%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.


    가구원 수 중위소득 60% 청년 1인 가구 지원 가능 월 소득
    1인 약 2,064,000원 1,238,400원 이하
    2인 약 3,436,000원 2,061,600원 이하
    3인 약 4,431,000원 2,658,600원 이하
    4인 약 5,356,000원 3,213,600원 이하


    내 건강보험료로 자가진단하는 법


    정부는 건강보험료를 통해 월 소득을 산정합니다.
    따라서, 매달 본인이 납부하는 건강보험료만 알고 있다면 대략적인 소득 기준 충족 여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.


    1. 국민건강보험 앱 또는 홈페이지 접속
    2. 납부 내역 → 최근 월 납부 보험료 확인
    3. 보험료가 ‘약 40,000원 이하’인 경우 1인 기준 적합 가능성 높음

    단, 가구원 수가 늘어나면 기준이 달라지므로 부모님과 함께 거주 중인 경우
    **부모 소득 및 재산도 확인**해야 합니다.



    계산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


    📌 예: 1인 가구 직장인 청년 A씨
    - 월급: 180만 원
    - 건강보험료: 약 55,000원
    → 중위소득 60% 기준 초과로 **지원 대상 아님**


    📌 예: 프리랜서 대학생 B씨
    - 월 수입: 약 100만 원
    -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기준 보험료: 약 25,000원
    → 중위소득 60% 이하로 **지원 대상 가능성 높음**



    추가로 고려할 점


    • 💡 1인 가구 기준 소득 외에도 **부모님의 재산**도 심사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.
    • 💡 2025년 기준, **부모 재산 합산 3.8억 원 이하**가 기준입니다.
    • 💡 신청서 작성 시 자동으로 소득·재산 조사에 대한 동의 절차가 포함됩니다.


    Q&A


    Q. 건강보험료만 보면 정확하게 알 수 있나요?

    정확한 판단은 아니지만, 자가진단 기준으로는 매우 유용합니다.


    Q. 프리랜서나 아르바이트 청년도 신청할 수 있나요?

    네, 신고된 소득 기준으로 심사되며, 기준에 부합하면 신청 가능합니다.


    Q. 부모님과 주소가 달라도 부모 소득을 보나요?

    만 30세 미만 미혼 청년은 부모와 세대를 분리해도 부모 소득·재산이 포함됩니다.


    Q. 공동명의 계약서도 인정되나요?

    불가능합니다. 반드시 단독 본인 명의여야 합니다.


    지금 내 소득 기준 확인하고 신청 준비하세요!


    이제 어렵게만 느껴졌던 중위소득 계산도 쉬워졌습니다.
    내가 받을 수 있는지 정확히 확인하고, 최대 240만 원 지원의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.
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